서울 집 값 언제까지 상승할까?

 

서울 아파트 집 값

안녕하세요.

서울 주택 시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요즘 들어 서울에서 아파트가 아닌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 같은 비아파트 주택 공급이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서울 주택 인허가 10곳중 1곳만 비아파트

최근 서울에서는 전세 보증금 미반환 사태 등으로 인해 빌라 같은 비아파트 주택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었습니다. 그 결과로 아파트 수요가 점점 더 집중되고 있답니다. 이런 현상 때문에 주택 공급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급락하는 서울 주택 인허가 규모




일반적으로 서울에서는 전체 주택의 30~40%가 빌라 같은 비아파트 주택이었어요. 하지만 지난해에는 아파트 공급이 감소하면서 비아파트 준공 비율이 50%까지 올랐어요. 그런데 전세 보증금 미반환 사태와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인해 아파트 수요가 더욱 커지면서 비아파트 공급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요.



빌라 역전세 현상 여전

특히 다세대와 연립주택 같은 빌라는 역전세 현상이 여전해요. 역전세란 기존 전세 보증금보다 현재 전세 시세가 낮아지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이런 상황 때문에 임대와 매매 수요 모두 부진한 상태입니다.

부동산 정보업체 다방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서울에서 연립•다세대 주택의 전세 거래 중 역전세 비율이 무려 46%에 달했다고 해요.

이런 현상들이 계속되면 아파트 수요가 계속 높아지면 가격도 오를 가능성이 크고, 비아파트 주택은 수요가 줄어들면서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어요. 주택 공급의 다양성이 줄어들면 장기적으로는 주거 안정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겠죠.


월별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 거래량

실제로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과 거래량추이를 보면 22년 12월을 기점으로 점점 오르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예전처럼 모든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것이 아닌 서울만 오르고있습니다.



대응 방향

그럼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주택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면 현재의 시장 상황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지방은 인구감소로 집 값이 오르긴 힘들것 같고 인허가가 부족한 서울과 경기만 매매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전세를 고려하고 있다면 전세 보증금 반환 문제에 대해서도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음 이전